-
AI, 개발자 그리고 슬램덩크BOOK 2023. 12. 2. 09:24
몇 달 전 '어떤 개발자가 살아남는가'라는 책을 읽었습니다. 최근에 공개되고 있는 chatGPT, Generative AI 모델들을 보고 있자니 앞으로 프로그래머의 역할 또는 세상의 모든 것들이 어떻게 변하게 될지 궁금하기도 하면서 막연한 두려움이 생기기도 합니다.
이 책은 'AI가 인간을 대체하는 시대에 소프트웨어 개발자로서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가?'에 대한 이야기이고, 결론부터 말하자면 해답은 '인문학에 있다.'라고 저자는 답하고 있습니다. 약간은 뜬구름 잡는 원론적인 이야기로 들릴 수 있지만, 읽다 보니 공감 가는 부분이 많았고 그동안 해왔던 개발에 대해 다른 방식으로 생각할 수 있는 부분도 있어서 좋았습니다. 책의 좋았던 몇 가지 부분을 공유하기 위해 이 글을 작성하였습니다.
인문학은 답을 제시해 주는 학문이 아닙니다. 기술은 답을 찾지만 인문학은 질문을 찾습니다.
이 책 어디에서도 당장 소프트웨어 개발에 적용할 수 있는 정답은 없습니다. 독자 여러분들이 책을 읽다가 잠시 덮고 스스로에게 던지는 질문을 만들어 낼 수 있다면 이 책은 그 본분을 다한 것입니다.
p.2 들어기에 앞서AI로 대체되는 일자리들
'약 2030년까지 프로그래머의 48%가 AI로 대체될 가능성이 있다.'는 옥스퍼드 대학이 2013년 공개한 <미래의 고용>이라는 연구결과를 책에서 소개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프로그래머는 분석이나 설계업무를 하지 않는 단순한 코더를 의미한다고 하지만, 제 경우를 보아도 직장에서 엄청 창조적인 일들을 매일 하고 있다고는 말하기 힘들 것 같기도 합니다. 그럼 결국 프로그래머의 대다수는 사라지는 것인가에 대한 질문에 아래와 같이 이야기합니다.
AI가 그림을 그리고 작곡을 하는데 명세(Specification)가 정해져 있는 코딩을 AI가 못 할 이유는 없다. 답이 이미 정해진 것들은 AI가 더 잘하게 될 것이다. 조합을 발견해 내고 논리적인 구조를 이끌어 내는 정형화된 경로에서 인간은 AI의 상대가 되지 못한다. 하지만 아직 이 세계에는 정형화되지 않은 수많은 경로가 훨씬 더 많다. p.14
정답이 이미 존재하는 것은 AI가 하고, 인간은 아직 답이 없는 일을 해야 하는데, 아직 정답이 없는 그 무엇을 찾는 일을 우리는 '창조'라고 하며, 창조를 위해선 기존에 없던 질문이 필요한데, 다른 질문을 위해선 상상력이 필요하고, 그 열쇠는 인문학에 있다고 이야기합니다. 요즘 꽤 주목받고 있는 chatGPT를 사용해 보더라도 프롬프트를 통해 어떤 질문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더 좋은 응답을 받을 수 있는 것을 보면 미래에는 문제의 답을 빠르게 찾는 것보다 남들과 다른 질문을 할 수 있는 것이 더 중요한 시대가 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창조의 세가지 경로: 탐색, 융합, 변혁
어떻게 남들과 다른 질문을 할 수 있는지, 설명하기 전에 책에서는 창조의 세 가지 경로에 대해 설명합니다. 인지과학자 마거릿 보든이 이야기한 창조력의 3가지 탐색, 융합, 변혁입니다.
- 탐색
- 탐색은 기존에 찾지 못했던 무언가를 발견해 내는 능력
- 패턴이나 규칙을 무한대로 반복하면서 계산에 계산을 거듭해 최적의 해를 구하는 것
- 기존 규칙을 따르면서 수많은 탐색을 통해 범위를 확장하여 가장자리에 숨어있는 아이디어를 찾아내는 것
- 대표적 사례 => 알파고
- 융합
- 한 세계와 다른 한 세계가 만나서 새로운 세계가 탄생하는 것
- 최소한 현 시점에서 AI가 거의 힘을 쓰지 못하는 분야
- 이렇게 저렇게 짜 맞춰보고, 여러 조합 중에서 새로운 것을 고르는 일
- 변혁
- 전혀 다른 패러다임이 만들어지는 것
- 고전 물리학 → 상대성 이론의 현대 물리학으로 대체된 것
그러면서 저자는 3가지의 방법 중 우리가 가야 할 창조의 길은 융합의 의한 창조라고 이야기합니다.
(극한 연산을 통한 탐색에 의한 창조는 AI에게 맡기고, 변혁적 창조는 천재들에게 맡기자.. 물론 융합적 사고도 쉬운 건 아니겠지만...😂)
융합적 창조력을 키우는 유일한 방법은 지식과 경험의 축적 그리고 끊임없는 사색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AI는 최적의 해를 구할 뿐 사색이라는 과정이 없기 때문에..
하지만 인간이 사색을 하기 위해서는 그전에 데이터가 축적되어 있어야 하고
-> 데이터, 지식의 양이 임계치를 넘어섰을 때 -> 창조성으로 연결된다고 전하며, 초년 개발자의 경험을 예로 듭니다.- 초년 개발자 시절에는 본인이 쌓아야 할 지식과 경험의 임계치를 그리 높게 보지 않는다.
- 모르면 볼 수도 없고, 깊이 들어가기 전까진 얼마나 깊은지 알 수 없기 때문에
- 하지만 개발 실력이 성장할수록 지식과 경험의 임계치가 높아지고
- 어느 순간 자신이 우물 안의 개구리 였음을 자각하는 순간이 온다.
- 우물 안의 개구리임을 깨닫고 나서야 우물 밖의 세상을 볼 수 있는데
- 우물 밖을 본다는 것 -> 프레임 바깥을 본다는 것 -> 통찰력
- 우물 밖을 본다는 것은 설정된 임계치를 돌파 한다는 것이고 그 비결은 양을 늘리는 방법 외엔 없다.
위 초보 개발자의 예를 읽다 보니 슬램덩크의 한 장면이 생각났습니다. 농구 초보자이지만 운동신경이 좋은 강백호는 같은 팀의 어릴 적부터 농구를 해 온 서태웅을 만만하게 보고 금방 따라잡을 수 있다고 말하고 다닙니다. 하지만 합숙기간 동안 2만 개의 점프 슛 훈련 후 서태웅의 점프슛을 보았을 때, 그전까진 보이지 않았던 것들이 강백호의 눈에 보이기 시작했고, 서태웅의 점프 슛이 굉장하다고 느끼고 자신과의 격차를 비로소 깨닫게 됩니다. 위 글에 따르면 저 상황이 강백호가 조금이나마 우물 밖을 보게 되는 순간이고, 임계치를 넘어서기 위해서는 물론 더 많은 연습량 밖에는 없겠죠.
하지만 단순히 기술에 대한 공부량만을 늘려선 안되고 인문학적 지식과 경험을 채워야 한다고 하는데요.😑
다음 글에서 인문학이 필요한 이유와 창조의 방법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728x90'BOOK'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게임 AI를 위한 탐색 알고리즘 입문 (0) 2024.03.23 HTTPS 통신의 암호화, RSA 그리고 양자 컴퓨터 (1) 2024.02.16 게임이론, 나폴레옹 그리고 중용 23장 (0) 2023.12.24 어쩌다 보니 파트장이 되었는데.. (0) 2023.12.08 인문학, AI 그리고 죽은 시인의 사회 (2) 2023.12.02 - 탐색